본문 바로가기
Money Keyword/코스닥종목

에이스토리 적정주가 구하기 241840

by 친철한 적구씨 2022. 7. 13.
반응형

'우영우' 글로벌 흥행 시동…유럽 등서 31개 언어로 추가 서비스

넷플릭스서 10위권 유지…아시아 8개국 1위 올라 "한국 드라마 중 최고" 호평도…"현지 감각 살린 번역도 한몫" 오명언 기자 김우진 인턴기자 = ENA 수목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이하 '우영

n.news.naver.com


기준일자 : 2022년 07월 13일
출처 : 2021.12월 사업보고서(2022.03.21) DART 전자공시시스템

동 게시물은 유사 투자자문 관련 게시글이 아니며, 학습 목적으로 게시한 것입니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학습자료이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단순 개인 공부로서의 목적이 큽니다. 절대로 본 게시물은 해당 종목의 매수를 종용하거나 매도를 추천하지 않으며, 종목 추천 의도가 100% 없는 글입니다.

1. 기업개요

(주)에이스토리(이하, 에이스토리)은 2004.1월 설립되어,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방송국과 해외시장 등에 공급하는 드라마 콘텐츠 제작사업과 드라마 IP(지적재산권) 판매 및 관련 부가사업(OST, 게임 등)을 영위하는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공급업을 주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2016.01월 tvN 시그널, KBS 아이가 다섯, 2021.9월 쿠팡플레이 SNL, tvN, 지리산이 주요 라인업이며, 최근 2022년 상반기부터 방영 중인 Netflix(이하, 넷플릭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주요 제품으로 하고 있습니다.

2. 주식의 총수 및 주주현황

엘지화학은 2021.12월말 기준 유통주식수는 보통주 9,282,770주입니다. 최대주주는 (주)이에스프로덕션(대표이사 이승은, 에이스토리 대표이사 이상백의 배우자)으로, 지분율 13.14%에 해당하는 보통주 1,252,500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 외 특수관계인이 주식을 소유하고 있으며,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수관계인 에이스토리 대표이사 이상백이 보통주 1,200,000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실제 유통주식수는 2021.12월말 기준으로 지분율 52.98%에 해당하는 5,050,997주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지분과 (주)씨제이이엔엠(이하, CJ ENM)이 소유한 보통주 998,000주, TENCENT MOBILITY LIMITED(이하, 텐센트)가 소유한 보통주 596,140주를 고려하면, 코스닥시장에서 활발하게 거래가 이루어지는 주식입니다.

3. 적정주가 구하기

국채수익률이 7% 미만이므로 할인율은 10%로 고정하여 설정하였고, 현재 정부에서 발표하고 있는 경제성장률을 기준으로 이후 CV의 영구 가치를 산정하였습니다. 그 결과, 현재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보면 약 -208%의 안전마진이 확보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성장률을 높게 설정하고 할인율을 낮추면, 적정가치는 상승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외부요인은 고려하지 않고 최대한 보수적으로 기준을 정했습니다. 산출된 적정가치가 에이스토리의 실제 가치는 아니며 워런 버핏의 투자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산출된 수치일 뿐입니다. 이러한 점을 꼭 참고해주시면 좋은 정보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이후(CV)
FCF(백만원) -2,812 633 -7,927 6,388 -33,124 -422,335
성장률(%) 664 -122 -1353 -181 -619 2
차수 1 2 3 4 5 5
할인율(%) 10 10 10 10 10 10
현가계수 0.909 0.826 0.751 0.683 0.621 0.621
현재가치 -2,557 523 -5,956 4,363 -20,568 -262,237
자산가치(5년) -24,195       현주가(원) 30,500
적정가치(영구) -262,237       적정주가(원) -28,250


4. 적정주가

동 종목의 적정주가는 상기 산출식에 근거하여, -28,250원이며, 안전마진 -208%를 적용한다면 현주가의 위치는 적정주가 대비 208% 할증되어 있으며, 고평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어 있다고 해당 종목의 매수시기를 정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의 위치에서 적절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 정도로만 이해하시면 좋은 정보가 되리라 생각됩니다.

5. 글을 마치며

해당 적정주가 추정근거로서 매년 발행하는 사업보고서를 채택하고 있지만, 실시간으로 현주가를 반영하지는 못하고 업체의 재무제표가 작성되는 시기까지 최신화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부분입니다. 해당 데이터 수집을 전산화한다면 좀 더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게시글을 읽어주셔서 다시 한번 고맙다는 말을 꼭 전해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되지 않더라도 됩시다.

반응형

댓글